티스토리 뷰
1.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
- [인스턴스 시작] 클릭
step 1: AMI 선택
- Linux로 선택
step 2: 인스턴스 유형 선택
- t2 micro 선택 (프리티어)
step 3: 인스턴스 구성
step 4: 스토리지 추가
- 최대 30GB까지 선택 가능
step 5: 태그 추가
step 6: 보안 그룹 구성
- 포트 접속을 하기 위한 설정
- HTTP 포트 추가
- Node 접속을 위한 3030 포트 추가
- 설정 후 [검토 및 시작] 클릭
step 7: 인스턴스 시작 검토
- [키 페어 다운로드] 클릭
서버 생성 완료!!
2. IP 주소 설정
- 네트워크 및 보안의 탄력적 IP
- [탄력적 IP 주소 할당] 클릭
- 'Amazon의 IPv4 주소 풀' 선택
- [할당] 클릭
IP 주소 할당 완료 !!
3. 서버 접속
step 1: ubuntu 접속 후 키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아래 명령 입력
sudo ssh -i {다운받은 키 파일} {instance-user-name}@{IP 주소}
- EC2 Linux의 경우 instance-user-name은 ec2-user
또는
sudo ssh -i /path/aws.pem ec2-user@17.134.125.21
step 2: nodejs 설치하기
- 아래 명령어 순서대로 입력
//nvm 설치
curl -o-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nvm-sh/nvm/v0.34.0/install.sh | bash
// nvm 활성화
. ~/.nvm/nvm.sh
// node 최신버전 설치
nvm install node
//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출력 테스트
node -e "console.log('Running Node.js ' + process.version)"
4. GitHub 클론
step 1: Git 설치
sudo yum install git
step 2: 레포지토리 클론
git clone {레포지토리 url}
5. PM2 설치
step 1: PM2 전역으로 설치
npm i pm2 -g
step 2: 실행 (무중단)
pm2 start npm -- start
# 중단
pm2 kill
6. 배포 주소 접속
{IP 주소}:{포트}로 접속
- ex) 17.134.125.21:3030
배포 완료 !!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RA 없이 React 개발 환경 구축하기 (0) | 2021.03.01 |
---|---|
AWS 도메인 연결하기 (Route 53, 호스팅케이알, EC2, 포트 리다이렉트) (0) | 2021.01.17 |
[GraphQL] AuthDirective를 이용한 인증 - Typescript (0) | 2020.12.03 |
RESTful API (0) | 2020.09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