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1.  배열

  • 인덱스에 해당하는 원소를 빠르게 접근해야 할 때
  • 데이터를 자주 바꾸거나 확인하는 일 없이 쌓아두고 싶을 때
  • 데이터의 삽입/삭제가 빈번하다면 배열 사용은 비효율적
  • 연산의 시간복잡도

      a. i번째 원소 확인 : O(1) - 원소가 연속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

      b. 원소를 끝에 추가 : O(1) - 배열의 길이를 알기 때문

      c. 마지막 원소 제거 : O(1) - 배열의 길이를 알기 때문

      d. 임의의 위치에 원소 추가 : O(N) - 원소 추가 후 전부 한 칸씩 뒤로 밀어야 함

      e. 임의의 위치에 원소 제거 : O(N) - 원소 제거 후 전부 한 칸씩 앞으로 밀어야 함

 

2. 연결리스트 (Linked-list)

  • 각 원소가 자신의 다음 원소의 위치까지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
  • Singly Linked List : 자신의 다음 원소의 위치만 가지고 있는 연결리스트
  • Doubly Linked List : 자신의 이전/다음 원소의 위치를 모두 가지고 있는 연결리스트
  • Circular Linked List : 마지막 원소가 처음 원소의 위치를 가지고 있는 연결 리스트
  • 삽입과 삭제 연산에 용이
  • 시작 주소만 알고 있으면 연속된 데이터에 접근하기가 쉬움
  • 탐색 속도가 단점
  • 포인터의 사용으로 저장공간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음연산의 시간복잡도

     a. 임의의 위치에 원소를 추가 : O(1) - 2개의 값만 바꾸면 됨

     b. 임의의 위치의 원소를 제거 : O(1) - 2개의 값만 바꾸면 됨

     c. 임의의 위치에 있는 원소 값 확인/ 변경 : O(N) - 해당 위치까지 가기 위해 이전의 모든 원소를 방문해야 함

 

3. 큐 (Queue)

  • 삽입과 삭제의 위치가 제한된 순서 리스트
  • 삭제는 front에서만 이루어지고, 삽입은 rear에서만 이루어진다.
  • 선입선출 구조 (FIFO : First - In - First - Out) : 가장 먼저 삽입된 원소가 가장 먼저 삭제된다.

 

4. 덱 (Deque)

  • 양쪽 끝에서 삽입과 삭제가 모두 가능한 자료구조
  • 큐의 확장형

 

  • push_front() : front에 삽입 연산
  • pop_front() : front에서 삭제 연산
  • push_rear() : rear에 삽입 연산
  • pop_rear() : rear에서 삭제 연산

'CS > Data Structu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Java] HashMap과 Map, HashTableMap, TreeMap  (0) 2022.02.14
Python 데이터 구조 (Data Structure)  (0) 2021.01.20
해시 테이블 (Hash Table)  (0) 2020.08.08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«   2025/01   »
1 2 3 4
5 6 7 8 9 10 11
12 13 14 15 16 17 18
19 20 21 22 23 24 25
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